딕셔너리 = { 키(이름): 값1, 키2(이름2): 값2 }
키랑 값은 1:1 대응
키 이름이 중복되면 가장 뒤에 있는 값만 사용되고 저장되지 않는다.
키의 이름은 정수, 실수, 불 도 사용할 수 있다.
값에는 리스트, 딕셔너리등 모든 자료형이 사용가능하다 (키에는 리스트와 딕셔너리는 사용 불가능)
<빈 딕셔너리 만들기>
<가능한 딕셔너리>
dic에서는 키=값의 형식으로 딕셔너리를 만들 수 있다. 이때 키에 ''나 "" 사용불가
딕셔너리에 키를 저장하지 않고 딕셔너리 이름만 입력하면 딕셔너리 전체가 출력된다.
없는 키에 값을 할당하면 해당 키가 추가 되고 값이 할당
<딕셔너리에 키가 있는지 확인하기>
키 in 딕셔너리
<딕셔너리에 키가 없는지 확인하기>
키 not in 딕셔너리
len(딕셔너리이름) -> 키의 개수 구하기
키와 딕셔너리가 1:1로 저장되고, 특히 튜플과 다른 점은 딕셔너리는 특정주제에 대해 연관된 값을 저장할때 사용한다는 것이다.
1. 다음 중 딕셔너리를 만드는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.
답) 2
해설) 딕셔너리의 형태가 키=값 인경우에는 '' 나 "" 를 사용 할 수 없다. 키: 값 형태면 사용가능
2. 딕셔너리 x = {10: 'Hello', 'world': 30}에서 키 10의 값을 출력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세요.
답) 5번
해설) 딕셔너리에서 값을 출력할때는 print(딕셔너리이름[키이름])으로 출력한다
3. 다음 코드를 실행했을 때 출력 결과로 올바른 것을 고르세요.
fruits = {'apple': 1500, 'pear': 3000, 'grape': 1400} fruits['orange'] = 2000 print(fruits['apple'], fruits['orange'])
답) 3
4. 다음 중 print(len({10:0, 20:1, 30:2, 40:3, 50:4, 60:7}))의 출력 결과로 올바른 것을 고르세요.
답) 4
[코딩도장] 14장 연습문제 (0) | 2021.10.21 |
---|---|
[코딩도장] 13장 연습문제 답 (0) | 2021.10.21 |
[코딩도장] 9장 연습문제, 심사문제 답 (0) | 2021.10.21 |
[코딩도장] 8장 심사문제 답 (0) | 2021.10.14 |
[코딩도장] 7장 퀴즈, 연습문제, 심사문제 답 (0) | 2021.10.13 |
댓글 영역